후리붜너 2023. 12. 10. 00:34

순서가  뒤죽박죽이고 제가 생각한 내용을 말하듯이 구어체로 써서 읽기 불편할 수 있습니다.. 다음번에는 정리해서 읽기 편하게 작성해볼게요..!

환율 차트 분석

1. 2008년 환율 급등 이유

  • 2008년 9월부터 미국을 시발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부동산 버블붕괴,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리먼 브라더스 파산)하였고, 국내 원화를 투매하고 외화를 보유하고 있으려는 심리 ↑
  •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이유 (참조 : https://joohyeon.com/189)
    • 영화 ' 쇼트' 배경이자 2008 글로벌 경제대위기의 원인이다.
    • 2006년까지 부동산 가격의 상승기를 맞이하면서 미국인들은 부동산을 구매하기 시작했다. 부동산을 구매하여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를 실행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과 같은 대출상품이 많이 파생되었고, 공격적으로 대출상품을 판매했다. 이후 저신용자들에게도 대출해줬던 문제가 2007~2008년부터 터지기 시작한다.
    • 저신용자들은 당연히 일반신용자들에 비해 연체율이 높고 채무를 불이행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것만으로 끝난다면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는 단순한 은행위기로 끝날 수도 있었다.
    • 금융사들은 서로 다른 주택담보대출 채권을 다른 금융사들에 판매하기도 하였는데, 그냥 판매한 것이 아니라 돈을 받을 권리를 쪼개어 분할 상품으로 만들어 상품으로 판매했다. 예를 들어, A한테 100원을 받을 권리와 B한테 100원을 받을 권리, , 두개의 채권이 있다고 하면 금융사에서 A한테 50원을 받을 권리, B한테 50원을 받을 권리를 하나로 합쳐 상품으로 만들어 것이다. 이것이 '증권화상품'이다.
    • 이렇게 보면 상품이 아무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해당 상품이 어느 정도의 위험성이 있는지 없어 등급을 매기기 어려웠고, 과정에서 신용기관들이 증권화상품들을 AAA등급으로 등급을 책정했다.
    • 아까 언급했던 2007~2008년부터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많은 저신용자들의 연체율이 급증했고, 금융기관들을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증권화 상품들이 회수가 가능한지 판단할 없게 되었다.

2. 2022 환율 급등 이유 (https://eiec.kdi.re.kr/material/pageoneView.do?idx=1537)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2월 시작
      • 국제적으로 원자재와 곡물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세계 각국의 물가가 급등 대부분의 나라에서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긴축 통화 정책 시작
      • ,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려 통화의 공급이 제한된다.
      • 일반적으로 미국 금리보다 한국의 기준 금리가 높아지면 우리나라에 투자했을 얻는 수익률이 높아져 원화 수요가 늘고, 반대로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보다 높으면 달러 수요가 높아진다.
      • 추가적으로 보통 달러의 가치가 원의 가치보다 높다고 판단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달러 환율이 오른다고 있다.
    • 한국 무역 수지 적자
      • 추가적인 급등 이유로 한국의 무역 수지 적자를 생각해볼  있다.
      • 2022 4월부터 한국의 무역 수지는 석유/석탄/천연가스 수입하는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적자를 기록했고,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받는 돈보다 외국에 주는 돈이 많아지면서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 ,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달러화가 줄어들게 되니 /달러 환율이 오르는 . (달러로 거래를 한다고 생각! 나가는 달러는 많고 들어오는 달러는 적음 국내에 달러 부족)

3. 2006~2007 환율 2000 이후 최저 이유

    • 국제 유가의 급등, 미국 대규모 재정 적자로 인한 달러화의 약세
      • 유가와 미국 기준금리는 일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로 시기에 유가가 급등하면서 금리는 낮아지게 된다.
        • 사실 순서는 반대임. 금리가 올라가면 긴축정책을 펼친다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 경제가 좋지 않을 것을 예상할 있다. 때문에 전반적인 산업군이 축소하려는 모습을 보일 있어 수요가 적어지니 유가가 하락할 있다.
        •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달러를 공급하는 양이 많아진다는 뜻이고 경제가 활성화될 있다는 뜻이다. 때문에 유가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고 유가가 상승할 있다.
        • 이는 사실 완벽하게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 , 유가가 급등했다는 말은 미국의 기준 금리가 낮았다는 의미이고 이는 달러의 공급이 많았다는 . 때문에 원화의 가치가 기존 달러의 가치보다 높아졌다고   있어 환율이 하락했다.

4. 2000~2001 환율 급등 이유

    • 2000년 닷컴 버블 (IT 버블)
      • 미국 여러 국가에서 IT 기술에 대한 막연한 기대로 IT 기업에 광적인 투기/투매 현상이 발생했다.
      • 미국 아니라 한국에서도 이전 1997 이후 외환 위기를 극복하고자 벤처기업 육성책 경제를 살린 방도를 찾다 투자자들이 미국과 비슷하게 IT 눈길을 돌렸고 이는 버블로 이어지게 되었다.
      • 버블이 이후 붕괴되면서 경제 불황이 찾아왔고 이는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환율도 상승하게 .
  • 2001 9.11테러
    • 9.11 테러로 인한 국제 금융 시장 불안 분위기가 고조되었고, 미국내 투자자들은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소비가 줄게 된다. 때문에 시중에 달러가 없어 달러의 가치가 높아져 환율이 급등하게 되는 .
    • 이런 테러, 위기가 발생하면 FED, 정부는 금리를 내리고 돈을 공급하게 된다. 그럼 다시 환율이 낮아지게 됨.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차트 분석

1. 2020~2021 채권 금리 낮은 이유

  • 2020년초 코로나 펜데믹
    • 코로나가 발생됨에 따라 얼어붙은 경제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금리를 낮추고 달러의 공급을 늘렸다. 때문에 국채의 금리도 함께 하락

2. 2022~2023년 채권 금리 급등 이유

  • CPI (소비자 물가지수)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연준은 경기가 일부 침체되더라도 금리를 인상하려고 함. 금리 인상의 기조가 2023년까지 이어지면서 채권의 금리도 상승하게 되었다.

금 선물 차트 분석

 

1. 2011~2012 금값 최고값 경신 이유

2. 2021 금값 급등 이유

    • 낮은 기준 금리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 2
      • 2011년과 같은 이유로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위해 경기부양책으로 금리가 0%대에 가깝게 돈을 풀었고 이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되었다. 때문에 안전자산인 금값이 급등하게 되었다.